아래 블로그 글,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책을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.
a = input() //1010 입력
print(a) //1010
input()은 문자열로 입력을 받기 때문에 숫자로 저장하고 싶다면 int()함수로 감싸주어야 한다.
a = int(input()) //입력받은 값을 int형으로 바꾼 후 변수 a에 할당
a = int(input("정수를 입력하시오 : "))
a = float(input()) //float형으로 바꿈
a = int(input(), 2) //2진수 입력
a = int(input(), 8) //8진수 입력
a = int(input(), 16) //16진수 입력
여러 값을 한 번에 입력받기 위해선 split과 map함수를 이용하면 된다.
<aside> 📐 split()
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리스트로 만들어주는 함수
인자로 아무것도 안 주면 공백 기준으로 자르고, 안에 구분자를 넣어주면 해당 문자를 기준으로 분할한다.
문자열 → 리스트
string = "apple,banana,orange"
result = string.split(",")
print(result)
#['apple', 'banana', 'orange']
</aside>
<aside> 📐 map()
map(적용될 변환 함수, 함수가 적용될 반복가능한 객체)
map함수는 map타입의 객체를 반환하기 때문에 map함수를 사용하려면 list나 tuple로 변환을 시켜주어야 한다.
numbers = ["1", "2", "3", "4", "5"]
result = map(int, numbers)
print(list(result))
#[1, 2, 3, 4, 5]
</aside>
map과 split 예제
a = input()
print(a) # "1 2 3 4 5 6 7 8 9 10"
a = input().split()
print(a) # ['1', '2', '3', '4', '5', '6', '7', '8', '9', '10']
a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) # <map object at 0x01D56750>
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print(a) #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a = tuple(map(int, input().split()))
print(a) # (1, 2, 3, 4, 5, 6, 7, 8, 9, 10)
한 번에 여러 변수에 할당하는 다중 할당도 가능하다.
a, b, c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1 2 3 입력
print(a) # 1
print(b) # 2
print(c) # 3